北, 연락사무소 소장회의 13주째 불참

南 고위당국자 “北측 소장 안 나와, 유감”

2019-05-30     박경순 기자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소장회의가 지난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은 가운데 정부가 매주 금요일에 열기로 남북이 합의한 정례 소장회의를 비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남측 소장의 북측 상대가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인데, 남북이 매주 금요일에 만나기로 했는데 북측이 (내부) 사정으로 나오지 못해 우리만 기다리는 경우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고위당국자는 “(소장회의 불발이) 남북관계 긴장지수로 작동할 수 있기도 하고”라며 “북측 사정을 감안해서 (북측에서) 연락이 오면 (회의를) 하는 방식으로, 금요일에 고정적으로 하는 것보다 필요하면 하는 것으로”라고 설명했다. 

남북은 지난해 9월 공동연락사무소 개소 당시 매주 금요일에 소장회의를 열기로 했다. 

그러나 정례 소장회의는 올해 2월22일 개최 이후 지난 24일까지 13주 연속으로 열리지 못했다. 

3·1절 등 공휴일이 겹친 경우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북한 측의 불참으로 열리지 못했다.

이 고위당국자는 “지금 여러 상황으로 인해 소장회의가 정례적으로 열리지 않고 있는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운영 방식 변경이 신경전의 차원이라기보다 ‘효율적 운영’을 위한 차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고위당국자는 “연락사무소는 양측 다 (운영이) 잘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북측의 입장도 고려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운영방식(변경)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다. 합의 파기나, 퇴행이라기보다는 북측의 입장을 고려해서 운영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에서”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