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유망인재 先확보전 분주
인터십 채용 연중 상시 확대 등 채용전략 변해
미래 유망인재 우선 확보를 위한 기업들의 ‘입도선매(立稻先賣)’ 움직임이 분주하다.
연 2회로 모집일정이 제한적이었던 인턴십 채용을 연중 상시로 확대하는가 하면, 졸업 후 취업이 확정되는 산학장학생 모집에 학부생도 포함되는 추세다.
29일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올 초 대졸 신입 공채를 폐지하고 일찍이 계열사별 수시채용에 나섰다.
나아가 27일 새로운 인턴 채용 방식인 `H-익스피리언스(Experience)`, 즉 인턴십 프로그램의 접수를 시작했다.
가장 큰 특징은 하계, 동계로 나뉘었던 선발 구조를 연중 상시채용으로 확대한 점이다.
더불어 주로 3학년 재학생 이상으로 지원 대상을 한정했다면 앞으로는 대학·대학원 재학생대학 확대해 이르게는 대학 1학년생도 지원할 수 있게 했다.
이에 앞서 LG상사도 인턴십 상시채용을 진행 중이다.
‘LG상사 채용연계형 인턴십 상시채용’ 공고에 따르면 모집기간이 ‘연중 상시’로 기재돼 있다.
한편, 주로 석박사 연구인력 위주로 선발되는 산학장학생 모집에 학부생도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끈다.
상반기 CJ제일제당·롯데케미칼ㆍ한화토탈 등의 기업에서 산학장학생 모집 시 석박사와 동시에 현재 3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도 모집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특전으로는 등록금 전액은 물론 학비 보조금 및 장학금이 실비로 지원되고, 무엇보다 졸업 후 취업이 확정된다.
단, 장학생 선발 후 입사 취소 시 지원금 전액을 회입해야 한다.
이렇듯 기존의 산학장학생 선발방식이 더욱 공고화 되어가고 있고, 신입사원에 이어 인턴사원도 ‘수시’ 채용방식을 택하는 등 기업들의 ‘투 트랙’ 채용전략이 엿보이는 상황이다.
특히 인사담당자의 절반 가량은 산학장학생 선발에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산학장학생 채용’에 대해 기업 105곳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한 결과다.
인담자의 28%는 ‘좋은 인재를 먼저 확보할 좋은 기회’라고 답했고, ‘좋은 인재를 확보하려는 기업의 정당한 채용방식’(24%)이라고도 내다봤다. 일명 ‘그들만의 리그’에 한 표를 보탠 셈이다.
또한 인재 선 확보를 위해 어떠한 채용프로그램을 운영 중인지 살펴본 결과 1위에는 ‘산학협력 인턴모집’(49%)이, 이어서 ‘대학교 채용설명회 진행 시 산학협력 연계학교 우선 진행(방문)’(19%), ‘산학장학생 선발’(17%), ‘산학장학생 채용 별도진행’(11%)의 순서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