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캠퍼스 혁신파크 문의전화 쇄도, 시작부터 ‘후끈’
부지 참여요건·기업유치 여건·지역안배 관건
교육부에 따르면 요즘 교육부에는 캠퍼스 혁신파크에 대해 문의하는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캠퍼스 혁신파크는 여건이 우수한 대학 캠퍼스 부지나 인근지역을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해 정보기술(IT)이나 생명기술(BT) 등 첨단산업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부지를 산업단지로 지정하고 교육부는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중소벤처기업부는 국비로 기업지원프로그램을 더해 협력하기로 했다.
대학 캠퍼스를 산업단지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도 국회에 발의된 상태다.
이달 말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상반기 중 서울을 제외한 전국 대학들로부터 공모를 받아 8월 말쯤 사업 후보지 2~3곳을 선정한다.
오는 2020년 산업단지 지정 이후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하는 만큼 3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대학들의 관심이 높은 이유는 최근 대학의 위기를 기회로 바꿔 생존할 수 있는 기회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2021년부터 학령인구가 대학정원보다 줄어들면 대학의 유휴부지와 건물은 늘어가는데, 이를 산업단지로 지정받으면 재산세와 취득세 등 각종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사립대가 1995년 이전에 취득한 토지에 대한 재산세 특혜(분리과세)를 없애는 지방세법 시행령이 행정안전부 입법예고대로 개정되면 추가로 부담해야 할 세금도 감면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중소기업에 저렴한 입주공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치조건이 유리해진다.
중기부는 대학 내 생산을 위한 산업시설 설치를 허용하는 등 창업부터 이후 경영까지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