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 차기 원내대표 선출 새 변수로

손학규 거취 문제로 분열 씨앗 여전

2019-05-09     이교엽 기자
▲ 바른미래당 원내정책회의.

바른미래당이 김관영 원내대표의 전격 사퇴 결정에 따라 극으로 치닫던 내분 사태가 일단락된 모양새다. 

하지만 바른정당계가 손학규 대표를 향해 여전히 각을 세우고 있어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내주로 예정된 차기 원내대표 선출이 갈등의 새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 원내대표가 사퇴 결정을 내린 다음날인 9일 오전 원내정책회의에는 선거제, 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지정 과정에서 생긴 갈등으로 참석을 거부하던 유의동 원내수석부대표와 권은희 정책위의장 등 원내지도부가 참석했다. 

김 원내대표의 사퇴 요구 수용으로 원내정책회의가 정상화된 모습을 보이는 등 당내 갈등이 일단은 봉합 수순으로 들어갔다.

또 의원 전원이 21대 총선에서 민주당·한국당·민주평화당과 통합이나 선거연대를 추진하지 않고 바른미래당 후보로 출마할 것을 결의하면서 계파간 갈등의 한 원인도 잠재웠다는 평가다. 

지금까지 호남계는 바른정당계를 향해, 바른정당계는 호남계를 향해 각각 한국당과 민주평화당과 통합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서로 의심해왔다.

그럼에도 손학규 대표 거취에 대한 문제가 남은 만큼 분열의 씨앗이 여전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고위원회 참석을 ‘보이콧’ 중인 바른정당계 최고위원들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당장 내주로 예정된 차기 원내대표 선출이 당내 반목의 새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는 재선의 김성식·오신환 의원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또 다른 당내 재선 의원인 권은희·하태경 의원은 공식 석상에서 불출마 의사를 밝혔고, 유의동 의원은 선거관리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식 의원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로 활동하며 선거제 패스트트랙 지정에 찬성 입장을 보여왔다. 오신환 의원은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이었지만 여야4당 합의안에 반대 의사를 던지며 사보임 조치됐다. 

누가 원내대표가 되느냐에 따라 향후 패스트트랙 협상에 변수가 될 수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