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中 경기 탓에 4월 수출 2.0%↓

반도체 제외한 나머지 품목선 0.8% 증가

2019-05-01     이교엽 기자

수출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 물량은 늘었지만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의 수출 단가 하락과 중국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수출액이 전년동기보다 2.0%% 감소한 488억6000억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수출은 작년 12월(-1.3%)을 시작으로 올해 1월(-6.2%), 2월(-11.4 %), 3월(-8.2%)에 이어 4월까지 5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다만 수출 감소폭은 2개월 연속 둔화됐다. 

4월 수출의 전체 물량은 2.5% 증가했다. 품목별 물량이 지난달 25일 기준 자동차(+14.8%), 이차전지(+13.6), 석유제품(+11.7), 바이오헬스(+8.6), 석유화학(+7.6,), 기계(+4.3) 등은 증가했다. 반면에 철강(-2.3%)과 반도체(-0.9%) 등은 감소했다. 

전체 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반도체 단가 하락과 수요부진이 4월 수출에 타격을 줬다. 

반도체 수출액은 84억55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3.5% 감소했다. 이는 반도체 단가가 51.6%나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의 데이터센터 재고조정이 지속되고 있고 중국으로의 스마트폰 수요가 정체된 점도 악영향을 끼쳤다. 

석유화학 수출액은 38억9400만 달러로 5.7% 줄었다. 수출물량이 7.6% 증가했음에도 글로벌 수요 둔화와 미국의 공급물량 확대에 따른 수출 단가 하락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에 자동차(+5.8%)와 선박(+53.6%), 일반기계(+0.3%) 등 주력 품목을 비롯해 바이오헬스(+23.3%), 이차전지(+13.4%), 전기차(+140.1) 등 신(新)수출성장동력 품목은 호조세를 지속했다. 

지역별로 중국과 일본의 수출은 감소했지만 감소율은 완화되는 추세다. 미국과 신흥시장인 베트남, 인도, 독립국가연합(CIS), 중남미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2.4% 늘어난 447억4000만 달러를 시현했다. 무역수지는 41억2000만 달러로 8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