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JSA 남측지역 민간인 견학 “북측 반응 없어”
남-북-유엔사, 자유왕래·운영수칙 등 협의 중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남측지역 민간인 견학 재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현재까지 북한의 특별한 반응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JSA 남측 구역 먼저 견학을 시작하는 것에 대해 북한 측 반응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지역은 우리의 관할지역이기 때문에 굳이 북한에 이 사안을 통보하거나, 어떤 반응을 받을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은 남북 9·19 군사분야합의에 따라 JSA 자유왕래를 시행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현재 남·북·유엔사 3자가 9·19 군사합의에 따라 JSA 자유왕래와 관련된 합동근무 초소 운영 등 군사적 보장을 위한 공동근무 및 운영규칙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3자 협의체 회의 등을 통해 JSA 공동근무 및 운영 규칙이 최종 확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1일부터 판문점 JSA의 민간인 견학을 재개하기로 했다. 지난해 10월 JSA 비무장화 조치를 이유로 견학이 중단된 지 7개월 만이다.
관람객들은 지난해 4·27 판문점 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단독회담을 나눈 도보다리 등을 추가로 방문할 수 있다.
한편, 정부는 서·동해지구 남북 공동관리구역과 마찬가지로 JSA에 대해서도 DMZ 민간인 출입 절차 등 관리권을 한국 측이 맡는 방향으로 유엔사와 협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엔사가 맡고 있는 JSA 출입 행정 절차 등을 남북 공동관리구역과 마찬가지로 한국 측에 이양하고, 이를 남·북·유엔사 3자가 협의 중인 공동근무 및 운영규칙에 포함하는 쪽으로 협의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