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선언 1주년에 “일시적 난관” vs “북한 직시해야”
4·27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엇갈린 평가가 나왔다.
정의당은 ‘지금의 난관은 일시적’이라고 본 반면 자유한국당은 ‘북한을 직시하라’며 외교·안보라인의 총체적 재정립을 촉구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4·27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 페이스북에 “판문점 선언 1주년을 맞는 지금, 평화 번영과 한반도 비핵화 실현의 방법론을 두고 북미, 남북은 이견 조정중에 있다. 분명한 것은 남북미 사이에 조성된 난관은 일시적이라는 것”이라고 적었다.
이 대표는 “비핵화와 평화를 향한 길은 옳은 길이고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다. 우리 겨레와 세계의 지지도 확고하다”면서 “(한반도 비핵화는) 더디 갈 수는 있지만, 판문점 선언 이전의 분열과 대립의 한반도로 돌아갈 수는 없다. 우리 정부는 다시 신발 끈을 단단히 매고 담대히 평화와 번영의 여정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했다.
민주평화당은 “남북 두 정상이 판문점 선언의 정신으로 되돌아가 허심탄회하게 머리를 맞대고 비핵화 문제에 대한 극적 해법을 도출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김정현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북한이 북·러 정상회담 등 배후세력을 강화하는 시점에서 한반도 정세 관리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며 “특히 한반도 문제를 풀 지렛대로 한미 정상회담에 뒤이은 남북 정상회담의 역할이 막중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국민들 앞에 호언장담하던 때부터 1년이 지났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년을 돌아보고 북한을 직시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1년이 지난 지금 북한의 비핵화에 실질적 진전이 없어 답답하다”면서 “말 아닌 행동과 결과로써 보여져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