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선7기 공정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발표

2019-04-17     송민수 기자

민선7기 경기도가 창업기업 육성·발전의 토대가 될 ‘공정·혁신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혁신 창업가 2만명 양성을 지원하고 오는 2022년까지 약 1500억원을 투자하는 내용의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이번 종합대책은 이재명 지사의 민선7기 경제정책 도정 목표인 ‘혁신이 넘치는 공정한 경제’ 구현을 위해 ▲혁신 창업(Change-UP) ▲공정 창업 (Cheer-UP) ▲고도 창업(Build-UP) ▲글로벌 창업 (Scale-UP) 등 4대 분야 16개 중점추진과제를 설정했다.

기본 방향으로는 민간 역할을 확대해 시장 주도의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해 질적 성장을 도모한다. 

첫째 ‘혁신 창업’ 분야로 ‘새로운 경기 창업 공모’ 신설 등 창업문화·유망창업가 발굴을 통한 범도민 창업-붐을 조성하고, 새로운 ‘경기도형 창업지원 사업모델’을 마련해 공공주도형에서 탈피, 보다 유연한 민간 주도형 사업방식으로 점진적 전환을 꾀한다.

둘째 ‘공정 창업’ 분야에서는 청년들에게 공정한 창업 기회 보장과 아이디어 발굴·매칭·보호를 지원하고, 창업-실패-도전의 선순환 지원으로 재기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해 재도전 기회를 보장하는데 주력한다.

셋째 ‘고도 창업’ 분야에서는 민-관 협력 채널인 ‘창업지원 정책협의회’를 구성, 공공분야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 창업 활성화 정책방향 설정과 유사·중복 사업 조정, 공동사업 발굴·기획 연계방안 마련 등을 도모한다.

넷째 ‘글로벌 창업’ 차원에서는 ‘경기도 글로벌 창업지원 기능’을 강화해 해외시장 진출 글로벌IR, 해외투자유치 전문컨설팅 등 다양한 해외진출 지원 정책을 펼친다.

이와 동시에 글로벌 경험이 풍부한 민간의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차원에서 공공과 민간이 힘을 합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올 6월 중 발족시켜 도내 창업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체계적·전문화된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국내·외 주요 기관과의 협력으로 스타트업캠퍼스 내에 글로벌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개설,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훈련을 시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