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연설에 與“대화 의지 표명”vs 한국 “대통령 모독”
바른미래 “대화 용의 환영”
여야는 1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 대해 서로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에 관심을 표현하고 남북관계에 대한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고 평가한 반면 자유한국당은 “대통령에 대한 모독”이라고 날을 세웠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하노이 방식은 아니더라도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을 분명히 표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 표시했다”며 “대화 시한을 올해 말로 설정했지만 역으로 이야기하면 올해 말까지는 돌발행동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중재자와 촉진자가 아닌 당사자로 나서달라’고 요구한 데 대해서는 “우리가 일방적으로 미국 입장만 대변하는 게 아니냐는 불만이 있는 것 같다”며 “지나치게 한미동맹만 강조하는 데 대한 불만도 내비친 것 같다”고 해석했다.
반면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대통령에 대한 모독이자 대한국민에 대한 모욕”이라며 “가뜩이나 한미 정상회담이 아무런 성과 없이 ‘노딜’로 끝난 마당에 김정은의 발언은 한미갈등, 남남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술책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바른미래당은 북미 간 대화 용의에는 의미를 두면서도 ‘북핵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에는 “대화의 불씨를 살려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 역시 문 대통령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정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미 양측에서 상반된 요구를 받고 있는 문 대통령의 입장이 더욱 주목받게 됐다”며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남북 정상회담의 효용성을 입증해야 할 시험대에 올라섰다”고 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북미 양측이 대화와 협상을 지속하려는 의지가 있다는 게 명확해졌다”며 “중재자이자 당사자로서 우리 정부 역할이 매우 무거워졌다. 조속히 남북 정상회담 추진으로 단단한 북미 대화의 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