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전 세계 중산층 소득 정체”

“중산층의 생활수준 보호하고 높여줘야”

2019-04-11     박경순 기자

치솟는 생활비와 부진한 소득의 영향으로 대다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 국가에서 중산층의 생활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고 경고하는 보고서가 나왔다. 

안정적인 일자리와 안락한 가정을 가졌다고 묘사되며 사회·경제 발전의 필수 요소로 꼽혔던 중산층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OECD는 중산층의 소득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어 중산층이 위기에 놓였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1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오늘날 중산층은 바위 투성이 해변에 떠있는 배처럼 보인다”고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는 중산층을 국가 중위소득의 75~200% 수준의 소득을 가진 집단으로 정의하고 있다.

OECD 국가에서 중산층 가정의 비율은 198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중반에 걸친 약 30년 사이 64%에서 61%로 하락했다.

베이비부머의 70%가 중산층 가정에서 20대를 보냈지만,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2000년대 출생) 에선 그 비율이 60%로 떨어졌다. 

중산층 생활비의 증가 속도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도보다 빨랐단 점은 주목할만하다. 

집값은 지난 20년간 가계 중위소득보다 3배나 빠르게 올랐다. 

그 결과 집값이 중산층 가처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대 4분의 1에서 현재 3분의 1로 커졌다.

중산층 5가구 중 1가구가 버는 것보다 많이 쓴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노동시장 전망이 점점 불확실해지는 점도 중산층 가구를 불안하게 만든다. 

중산층 노동자 6명 중 1명은 미래에 자동화될 가능성이 큰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반면 저소득 근로자의 경우 5명 중 1명, 고소득자는 10명 중 1명이 이같은 위험에 놓여있다.

OECD는 정부가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적정한 가격의 주택 공급량을 늘리고 주택 대출자에게 대출에 대한 재정 지원과 세금 감면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정부는 이들의 우려에 귀 기울여 중산층의 생활수준을 보호하고 높여줘야 한다. 이것이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더 안정적인 사회 구조를 만들어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