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완주가 야권연대 복원시키는 것이라 생각"
'막말 파문'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민주통합당 김용민 후보(서울 노원갑)는 9일 "사퇴보다는 완주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야권연대를 복원시키고 (이번 총선을) 정권심판의 선거로 만드는 일이라 생각했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제 거취 문제가 전체 선거 판세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더더욱 사퇴할 수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오만하게 들으실지 모르겠지만 제가 살아서, 싸워서 야권연대를 복원시키고 젊은 지지자들을 하나로 결집해 투표장으로 이끌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선거운동을 중단하고 사퇴냐 완주냐 그 사이에서 고민한 가장 큰 이유가 거취가 아니라 야권연대, 정권심판 같은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었다"고 설명했다.
당의 사퇴 권고에도 불구하고 출마를 강행한 김 후보는 "한명숙 대표님이 당의 상황이 어렵다며 결단을 고민할 때가 된 것 아니냐는 말씀을 하셨는데 여러 오해들이 섞여있는 것 같아 그 사안들에 대해 설명을 드렸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저의 취지는 당의 결정을 거스르겠다는 것이 아니다. 당이 얼마나 많은 고심을 했는지 충분히 알고 있고 저도 지난 며칠 동안에 사퇴를 포함한 깊은 고민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이번 선거의 핵심인 정권 심판이 사라졌다. 제 책임이며 반성하고 있다"며 "그런데 저의 사퇴를 촉구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새누리당과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언론은 심판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당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로부터 심판 받겠다고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보다 '나는 꼼수다'의 다른 진행자들과의 의논이 결정에 더 중요하게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 출마 문제는 함께 논의했지만 사퇴 여부에 대한 결정은 전적으로 함께뛰고 있는 운동원들과 논의하고 직접 결정했다"며 "선거 국면에서 '나꼼수' 진행자들과 논의할 시간이 많지 않다. 정치를 하기로 결정한 만큼 이후 관련된 고민과 결정은 저에게 맡겨진 상태"라고 언급했다.
한 대표가 "(8년 전 막말은) 이유를 불문하고 잘못한 것이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김 후보는 "당시 막말에 대해서는 해명할 내용이 없다. 8년 전 왜 그런 말을 하게 됐는지 상황 논리, 배경 설명을 주변에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지만 불필요하다"고 단언했다.
김 후보는 "저는 지금 공직 선거 출마자이기 때문에 해명보다 과거 발언에 대해 반성하고 사과하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한다"며 "평생 짊어지고 갈 제 허물이고 책임"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교회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에 대해서는 "한국 교회 전체를 척결 대상이라고 말했다는 주장은 명백한 허위다. 앞뒤를 다 자른 짜깁기"라며 "제가 비판한 것은 나쁜 교회다. 인터뷰 원문을 읽어보면 저의 충분한 취지가 담겨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