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동결에 부담 던 한은, 채권시장 강세 모멘텀

위험자산 선호도 상승에 채권 강세폭 제한적

2019-01-31     이교엽 기자
▲ <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비둘기파로 변신했다는 해석이 잇따르자 국내 통화정책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더불어 국내 채권시장이 강세(채권금리 하락·채권가치 상승)를 띨 여지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연준 통화정책이 새 국면에 들어가면서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도도 함께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국내 채권의 강세폭은 크지 않으리라는 시각도 함께 제기된다. 

연준은 30일 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행 연 2.25~2.50%에서 동결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2015년 ‘제로 금리’ 정책 종료를 선언한 후 지금까지 9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며 작년에는 4차례 올렸다. 

또 FOMC 성명서에 ‘추가적인 점진적 금리인상’이라는 문구가 삭제되고 ‘인내심’이 재등장했다. 동시에 다른 긴축 카드인 ‘보유자산 축소’도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이에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시장의 예상보다 비둘기적인 입장을 내놓았다고 평가하고 지난해 12월 전망한 연내 두 차례 금리인상보다 횟수가 줄거나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했다. 

더 나아가 사실상 지난해 12월로 기준금리 인상 행진이 멈췄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러한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시사는 한은의 통화정책 부담 완화 등 국내 채권시장에 강세 모멘텀으로 작용하리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