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체육계 피해사례 전수조사 실시

작장운동부에서 장애인·대학 선수까지 확대

2019-01-29     송민수 기자

경기도가 체육계 성폭력·인권침해와 관련 직장운동부 선수에 이어 장애인 선수와 대학 소속 선수까지 피해사례 전수조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스포츠 인권 침해 방지를 위해 경기도가 함께 하겠습니다’라는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16일 발표한 체육계 성폭력 근절 방지 대책에 이어 피해사례 전수조사 범위를 직장운동부 선수에서 장애인 선수와 대학 소속 선수까지 포함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수조사 대상은 921명에서 4647명으로 늘었다. 

웹 사이트를 구축해 체육계 인권 침해에 대한 설문조사도 받기로 했다. 

대면 설문 조사를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선수들이 2차 피해를 우려해 방어적인 태도로 설문에 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도는 전수 조사를 통해 구체적 성폭력 피해 사례가 접수될 경우 피해자에 법률상담과 고소장 작성 등 법률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도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설문 응답 선수의 소속과 성별만 입력하면 설문조사에 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 설문조사가 불가능한 지적장애 여자선수 137명은 관련 전문가를 통해 1대1 조사를 실시한다.

도는 사전 예방을 위해 인권 교육을 연중 시행할 방침이라고 했다.

도는 경기가족여성연구원에 의뢰해 사례별 인권 침해 방지 교육을 실시해 어떤 사례들이 인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교육하고 감독, 코치 등에게 경각심을 심어 줄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전수조사로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며 “군이 지속적인 폭력 모니터링으로 군 폭력 문제를 해결한 것처럼 체육계 인권침해도 장기간 감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전수 조사 대상 선수는 직장 운동부 921명(여성 332명, 남성 589명), 장애인 선수 2540명(여성 661명, 남성 1879명), 도내 20개 대학에 소속된 대학생 1213명(여성 274명 남성 939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