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한달 앞 북미회담 ‘촉각’

TF꾸려 남북협력 가능사업 모색

2019-01-27     이교엽 기자
▲ 경기도 파주시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뉴시스>

27일 건설업계는 두번째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경제협력 사업의 물꼬가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이 순항한다면 대북 제재가 일부 완화 또는 해제될 가능성이 있고 민간이 참여하는 남북 경협도 본격적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다.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전제로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이르면 3월말께로 보고 남북 경제협력 및 교류사업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회담에서 대북 제재가 일부 완화 또는 해제될 경우에 대비하는 한편 제재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진할 수 있는 사업도 모색할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사들도 물밑에서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대 건설사 대부분은 이미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대북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펴낸 ‘남·북한 인프라 건설협력사업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북한의 주택 인프라는 보급률, 평균주택규모, 상하수도 등 주거 인프라 수준이 남한의 1990년대와 비슷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통 인프라의 경우 철도는 중·북부 내륙이 산악지형인데다 1990년대 이후 경제난으로 노후됐고 도로는 포장률이 10% 정도로 제 기능이 어려운 실정이다. 

항만은 해상교역의 불안정성, 경제 제재 등으로 개발·유지·관리가 힘들고 평양의 순안공항을 제외하곤 노후화돼 있거나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관광단지 인프라와 관련해선 지난해 기준 5개 경제특구와 22개 경제개발구를 특수 경제구역으로 지정·운영하면서 외자유치를 통한 경제성장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나 남북한의 개성공업지구, 금강산관광특구는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