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김부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기싸움 ‘시작’

행안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개 반대

2019-01-24     박경순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왼쪽)과 김부겸 의원. <뉴시스>

김 장관과 행안부는 지난 23일 서울시를 상대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으로 인한 정부서울청사 기능 훼손 문제를 공식 제기했다. 

행안부는 ‘서울시 계획대로 광화문광장이 개조되면 정부서울청사가 공공건물로서 기능을 잃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청와대가 이달 4일 대통령 집무실의 정부서울청사 이전을 포기한다고 밝힌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연계돼 있는 상황에서는 김 장관이 박 시장과 서울시를 상대로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웠지만 청와대가 발을 빼면서 김 장관이 부담을 던 측면이 있다. 

표면적 쟁점은 정부서울청사 기능 훼손 여부다. 

21일 서울시가 발표한 설계안대로 시공하면 정부서울청사 정문과 차량 출입구가 폐쇄되고 지상 주차장은 공원으로 바뀐다. 주차장 부지에 이순신 장군 동상을 옮겨놓는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다. 

서울시는 행안부의 이 같은 입장 표명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시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와 관련해 지난해부터 4~5차례에 걸쳐 행안부와 실무협의를 거쳤다고 항변했다. 실무협의가 있었음에도 행안부의 보도자료에는 ‘협의도 없이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는 뉘앙스가 있다는 게 시의 불만이다.

시는 광화문광장 관련 실무협의에 임하는 행안부의 태도에도 불만을 갖고 있다. 

행안부 입장표명 시점 역시 논란거리다. 도로망 개편에 의한 정부서울청사 우회도로 조성 방안은 지난해 4월에 발표됐었다. 

설계도 공모과정이 있긴 했지만 정부서울청사 우회도로 조성은 공모 때 전제조건으로 제시됐다. 

결국 우회도로 조성이 일찌감치 확정돼있었음에도 행안부가 그 당시는 문제 삼지 않다가 뒤늦게 반대의견을 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은 박 시장과 김 장관이 일찌감치 대선 전초전을 시작했다는 분석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박 시장이 광화문광장과 을지로·청계천 재개발 제동 등 폭발력 있는 사안을 연이어 터뜨리며 존재감을 키우자 경쟁자인 김 장관이 견제구를 던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다음달 설 연휴 이후 단행될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김 장관은 행안부 장관직이 끝나면 대구로 내려가 정치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는 이런 해석에 손사래를 쳤다. 이번 입장표명에 정치적인 의도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 시장이 자신의 대표사업 중 하나로 여기고 있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에 김 장관이 이의를 제기한 것을 계기로 양측 간 견제와 신경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