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혜원 목포 구도심 투기 의혹에 시민도 ‘갑론을박’
“낙후된 곳에 투기, 말도 안 돼” vs “사전정보 입수해 투기 했을 것”
더불어민주당 손혜원(서울 마포구을) 의원의 전남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보는 시민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20일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시범사업 구역 상인과 시민들은 손 의원의 투기 의혹과 관련한 다양한 입장을 밝혔다.
손 의원 조카·지인 등이 구입한 ‘창성장’(게스트하우스) 옆에서 오토바이 정비업을 하는 정모(82)씨는 “42년 전 평당 400만원 가량에 거래되던 이 일대 부동산은 공동화현상으로 건물 자체가 안 팔렸다. 지난해 중순부터 조금씩 거래가 이뤄졌다. 다만, 매매가가 거의 오르지 않았다. 확실한 시세차익을 담보하는 곳도 아니다. 투기라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목포시민 김태완(56)씨는 시범사업 구역 내 ‘건해산물 상가거리’를 가리키며 “목포 경제 중심지였던 오거리로 불리던 이곳 일대는 1990년대 중후반부터 하당 등 신도심 개발로 낙후돼 왔다. 유동인구가 없는 이곳에 투기를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창성장을 둘러보던 광주시민 김모(60)씨는 “손 의원 가족·지인들이 사들인 건물 중 1곳만 등록문화재로 선정된 것으로 안다”며 “문화재 보존과 계승을 위해 힘써왔다. 문화적 자산을 공공화하고 구도심을 재생하겠다는 손 의원의 주장에 동의한다. 나전칠기 박물관 부지 매입을 투기로 몰아가는 것도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투기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는 이들도 있었다.
서울에서 남편과 목포 여행을 왔다는 이모(55·여)씨는 “문화체육관광위 소속 여당 간사인 손 의원이 사전에 정보를 입수해 투기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 조카들에게 돈을 주고 건물 매입 주도 뒤 창성장을 홍보하고 국고 지원 혜택까지 고려했다. 향후 이 일대가 개발되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31년째 목포 대의동에서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이모(54)씨는 “손 의원 가족·측근이 매입한 건물 규모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손 의원이 지난해 2차례 대의동 일대를 찾은 것을 봤고, 건물 매입 대부분이 문화재 등록 시점으로부터 1년 반 이전에 집중됐다. 등록문화재 건물은 매매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로 본다”고 설명했다.
목포시민 최모(39)씨도 “손 의원은 땅과 건물을 사지 않고도 법안과 정책으로 구도심을 살리고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었다”며 “근대 문화유산과 적산가옥이 많은 이곳이 부동산 가치가 뛸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목포시민 대다수는 “구도심 개발에 차질이 없도록 손 의원 투기 의혹 진위가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