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인 삶의질 향상에 6조5305억원 투자
정부가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료·복지·교육·정주여건 등을 개선하는 데 6조5305억원을 투·융자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6조3000억원) 보다 3.3% 증가한 것이다.
정부는 30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농림수산식품부와 보건복지부 등 10개 부처 장·차관과 농어업인 대표, 전문가 등이 참여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2012년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농어업인의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연금·건강보험료 지원액을 지난해 2513억원에서 올해 2593억원으로 60억원 늘렸다.
또 농어촌 방과후 학교 지원대상을 농어촌 전체 학교로 확대해 농어촌 가구의 사교육비를 줄이고 학업성취도를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도농간 문화격차를 좁히기 위해 64억원을 투입해 농어촌 지역에 공공도서관 11곳, 테마과학관 9곳, 복합체육시설 9곳도 건립할 계획이다.
향토자원과 농어촌기업을 연계한 특화농공단지 6곳을 신규로 조성해 경쟁력 있는 향토산업을 육성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농어촌 복지전달체계 개선 ▲적정규모학교 육성 ▲방과후학교 외부강사 교통비 지원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제도 도입 등 농어촌 삶의 질 개선에 꼭 필요한 10대 중점과제를 선정, 연내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키로 했다.
총리실 등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보건·복지·교육·생활인프라 등 7개 부문에 23조5000억원을 투자해 농어촌 지역의 삶의 질 만족도가 2007년 45.5점에서 지난해 52.3%로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도시에 비해 생활 여건이 부족하고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에 따라 농어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