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고 달러 비중 60.5%…5년來 최저
한국은행이 운용하는 외환보유고 가운데 달러 자산 비중이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인 60.5%를 기록했다.
다만 아직까지 달러 비중을 축소하는 추세로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은이 공표한 '2011년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외환보유액은 306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8억 달러 증가했다.
외환은 113억 달러,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은 15억 달러 증가한 2982억 달러, 26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IMF 특별인출권(SDR)은 1억 달러 감소한 34억 달러였다. 금은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40톤을 매입해 21억 달러 증가한 2167억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외화자산 가운데 달러 비중은 60.5%로 전년 대비 3.2%포인트 감소했다. 달러 비중은 2009년 63.1%에서 2010년 63.7%로 소폭 늘었다가 지난해 다시 감소했다. 기타 통화는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호주 달러화, 캐나다 달러화를 중심으로 운용하고 있다.
강성경 한은 외자기획부장은 "달러 비중이 63%대를 꾸준히 유지하다 지난해 들어 감소한 것은 금 매입 등 자산 배분 측면에서 달러 비중이 줄었기 때문으로 기조적인 변화로 보기는 어렵다"며 "전세계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중 달러 자산 비중(61.7%)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세계적으로 유로화 비중이 10% 정도 늘었지만 추세가 계속될 지는 두고봐야 한다"며 "현재로선 달러 외의 대안을 찾기 어려운 만큼 중앙은행은 통화와 관련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산별로는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유동성 확보 노력 등으로 유동성 자산이 전년 대비 1.3%포인트 증가한 4.5%로 나타났다. 위탁 자산 비중은 한국투자공사(KIC)에 30억 달러를 추가 위탁하는 등 전년 대비 1.5%포인트 늘어난 15.8%로 나타났다. 반면 수익성자산 비중은 2.8%포인트 감소한 79.7%로 집계됐다.
상품별로는 국제금융시장 불안정에 대응해 안정성과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정부채와 자산유동화채 비중이 36.8%, 17%로 전년 대비 각각 1%포인트, 0.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정부기관채와 회사채 비중은 각각 1.7%포인트, 2.4%포인트 감소한 20.1%, 14.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