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 전통시장 5곳 화재대응 실태조사

만일의 사태 대비해 신속한 화재 대응 실시

2018-12-16     배성렬 기자
▲ 남동구청 전경.

인천 남동구가 화재에 안전한 전통시장을 만들기 위해 지역 내 전통시장 5곳에 대한 화재대응 실태조사를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벌였다.

이번 조사에선 남동구 시장지원 및 안전관리부서 뿐만 아니라 소방서 관계자들도 함께 했다. 

조사는 간석자유시장을 비롯해 장승백이 전통시장, 구월도매시장, 구월시장, 모래내시장 등 안전등급 중 C등급을 받은 시장을 대상으로 했다. 

이번 조사는 겨울철 화재발생으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신속한 화재 대응을 위해 실시했다. 

D등급 이하를 받은 전통시장은 소방청 주관으로 이미 점검을 마쳐 만수시장(D등급)은 이번 실태조사에선 제외됐다. 

조사에선 화재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각종 전기시설과 함께 자위소방대 운영과 야간근무자 정기순찰 여부 등 화재 초기 대응분야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이와 관련, 소방당국은 화재발생의 주요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48%를 차지해 전체 화재 중 절반가량이 전기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시장에 대한 점검 결과, 전통시장 주요 출입구 바닥에 ‘소방차 통행로’ 표시를 해놓아 소방차 출동을 방해하는 요인을 없앤 점이 잘 된 사례로 꼽혔다. 

하지만 소화전 앞에 물건을 적치해놓거나 휴대용 비상 조명등 건전지가 방전되고, 일부 소화기는 내구연한 10년을 넘긴 경우도 있었다.

구는 전통시장 공용부분에 대한 소방시설 점검을 위탁업체를 통해 매달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조사에서 지적된 불량 소방물품에 대한 교체를 지시했다. 

또 소화전 앞 및 소방차 진입로에 물건이 적치된 일부시장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지적됐다. 현재는 전통시장 내 소방차 진입로 확보를 위한 ‘적치물 제한선(고객선)’이 조례로 제정돼 있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강제규정조차 없어 제한규정을 넘어 물건을 진열한 경우도 빈번했다. 

이강호 남동구청장은 “화재가 났을 경우 소방차가 즉시 출동해 진압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진입로 마련과 적치물 제거는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사항인 만큼, 상인들의 자발적인 개선의지가 중요하다”며 상인과 상인회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