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상회담 이후 판문점 선언 비준동의안 논의
“여야간 판문점선언 동의안에 대한 논의 더 필요하다”에 공감대 이뤄
여야 3개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10일 남북 3차 정상회담 이후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 처리 여부를 논의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11일 비준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문희상 국회의장 주재 원내대표 회동에서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 등 쟁점 조율에 나섰다.
홍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야간에 판문점선언 동의안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한 것 같다”며 “내일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국회로 보낸다고 했는데 정부로서는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이문제로 너무 정쟁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데 공감(대를 이뤘다)”이라고 했다.
이어 “국회로 보내오면 충분히 논의하고 3차 회담 끝난 이후에 그 결과를 보면서 더 논의해가기로 했다”며 “이 문제로 3차 회담 앞두고 있고, 여러 어려운 상황에서 정쟁화 하지는 말자는 데에 대해 함께 뜻을 모았다”고 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핵폐기 등 실질적 비핵화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18일 문재인 대통령께서 남북회담을 통해 핵 폐기 등 실질적 진전을 이뤄내는 상황이 온다면 국회 차원에서도 상당히 심도 있는 논의를 해서 뒷받침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도 4・27, 6・12 이후 실질적인 진전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담보하고 국제사회와 국민들의 공감대가 이뤄진다면 국회에서 무엇을 못하겠느냐”며 “그런 관점에서 비준 동의안 가지고 불필요한 정쟁을 하지 않기로 뜻을 모았다”고 했다.
단 여야는 비준동의안을 소관 상임위인 외교통상위원회에 회부해 논의키로 했다.
홍 원내대표는 비준동의안 표결에 대해 “한명이라도 반대하면 못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저쪽(한국당)은 끝나고 하자고 한다. 지금 상황에서 원활하게 되기는 힘들다”고 했다.
단 “외통위에 회부해서 잘되면 정상회담 전에도 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부가 보내면 (논의를) 하게 돼 있다. 외통위에서 논의하게 하자, 상임위에서 절차를 밟도록 하겠다고 (김성태 원내대표가 약속했다)”고 했다.
3차 정상회담에 여야 원내대표단은 동행하지 않기로 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번에는 안간다”고 했다. 다만 “평양에서 잘 마무리해가지고 오면 홍 원내대표가 단장이 돼서 국회 차원에서 실질적인 협력과 협조를 뒷받침(하기로 했다)”이라고 여지를 뒀다.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오후 다시 만나 현안 조율에 나선다. 홍 원내대표와 김성태 원내대표는 오찬을 함께 하며 물밑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