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린온 사고 민・관・군 합동조사위 23일만에 가동

권재상 공사 명예교수 위원장 각계 전문가 등 총 37명

2018-08-08     박경순 기자
▲ 해병대사령부가 20일 오후 경북 포항시 남구 해병대 1사단 비행기 활주로에 상륙기동 헬기 ‘마린온’ 추락사고 현장을 언론에 공개하고 있다. <뉴시스>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추락사고 23일 만에 민·관·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가 본격적인 원인 규명에 나선다. 

해병대사령부는 마린온 사고 조사를 위한 민·관·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 첫 회의가 포항 해병대1사단에서 열린다고 8일 밝혔다.

당초 해병대는 지난달 17일 마린온 추락사고 이후 해병대와 해군, 공군, 국방기술품질원, 육군 항공작전사령부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유가족 요청에 따라 민간 분야와 정부기관 전문가를 확대 편성하고, 민·관·군 전문가 37명이 참가하는 민·관·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조사위원장은 유가족 추천에 따라 공군사관학교 명예교수인 권재상(공사23기) 예비역 대령을 위촉했다. 

 

▲ 지난 7월 17일 오후 4시 45분께 경북 포항시 남구 해군6전단내 활주로에서 해병대 소속 마린온 상륙기동헬기 1대가 지상 10m상공에서 추락했다. <뉴시스>

 

민(民) 위원회는 9명으로 항공안전관리, 금속공학, 헬기유동, 미 해병대 항공 전문가로 구성됐다. 

관(官) 위원회는 국토교통부, 서울경찰청, 산림청, 소방청에서 추천받은 4명에 2016년 노르웨이 슈퍼퓨마 사고 조사에 참가했던 전문가도 추가로 섭외중이다. 

군(軍) 위원회는 비행, 정비, 수사·일반 분야 22명으로 구성됐다.

사고조사위는 첫 회의에서 현재까지 사고조사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 사항을 협의한 후 분야별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앞서 해병대는 조영준 전력기획실장(해병 준장)을 조사위원장으로 육·해·공군 항공분야 전문가들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현장 조사를 비롯한 비행 및 정비관련 사고 조사를 했다.

한편 해병대 관계자는 “사고조사위원회는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국방부와 해병대사령부에서 운영하는 사고조사지원 TF의 지원을 받는다”라고 하면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치의 의혹이 없도록 조사를 진행하도록 하고,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사고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