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아시아코끼리 ‘가자바’ 급작스런 폐사

2004년생 아시아코끼리 가자바 발정기 맞아 격리상태에서 갑자기 쓰러져

2018-08-07     최형규 기자
▲ 경련 후 주저 않아 치료를 받는 가자바.

가자바가 있던 곳은 다른 코끼리 방사장의 바로 옆 방사장으로 암컷과 새끼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따로 분리되어 있었고, 가자바는 울타리 너머로 암컷들과 상당 시간 교감하며 지내왔다.

코끼리의 발정기는 성숙한 수컷 코끼리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생리현상으로 눈과 귀 사이에 있는 분비샘에서 분비물이 나와서 흘러내리며 식욕저하, 잦은 배뇨, 다른 개체 또는 사육사에게  공격적 행동을 보이는 기간으로 “Musth”라고 부른다. Musth 기간에는 다른 개체들과 격리해 사육사의 세밀한 관찰 및 주의를 요한다.

야생에서도 수컷 코끼리는 발정기가 되면 먹이 섭취량이 줄고 활동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과격한 행동을 통해 자기과시를 한다. 

자신의 혈기를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잦으며. 다른 야생동물(하마, 코뿔소등)을 공격해 죽이거나 주변의 어린 코끼리를 공격해 큰 부상을 입히기도 한다. 

무리내의 어린 수컷이 발정이 오면 우두머리 암컷 코끼리가 수컷에게 물리적인 제제를 가하거나 심할 경우 무리 밖으로 퇴출시킨다.

가자바는 8월 2일부터 자기 통제가 안되고 더욱 예민해진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8월 4일부터는 긍정강화 훈련도 거부하고, 내실에도 들어가지 않는 등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였다. 

가자바는 8월 5일 오후 울타리 곁에서 암컷 코끼리들(수겔라, 키마)과 새끼 코끼리(희망)와 교감을 하다가 오후 4시 55분경 다리 경련과 극도로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주저 앉았고 즉시 진료팀이 약물주사 등 응급처치를 하였으나 19시경 폐사했다.

오후 4시 55분 경련 후 주저앉았지만 가자바의 의식은 또렷했고 5시 20분경부터 진료팀이 약물주사와 수액 등 최선의 응급처치를 하였으나 19시경 갑자기 의식을 잃고 폐사했다.

가자바는 당일 부검을 실시했으나 육안상의 문제는 보이지 않았고, 심장, 폐, 간 등 주요 장기의 조직 등을 채취하여 검사중이며 현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부검결과 확인된 사망 원인은 없으며, 발정기에 의한 스트레스와 폭염 등 복합적인 원인을 추측하고 있다. 정확한 사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가자바의 조직 등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중이며,  현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