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웰빙지수 23개국 중 최하위
韓 3040세대‚ 부양・양육에 끼어 절망
한국 웰빙지수가 2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양육과 부양 사이에 낀 3040세대의 웰빙지수가 유독 낮았다.
10일 라이나생명 모그룹인 글로벌 헬스서비스기업 시그나그룹이 주요 23개국을 대상으로 올해 시그나360 웰빙지수를 조사한 결과 대한민국이 최하위로 조사됐다.
시그나360 웰빙지수 설문조사는 신체건강과 사회관계, 가족, 재정상황, 직장관련 건강 및 복지 5개 부문을 중심으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2~3월 한국과 미국, 중국, 영국 등 23개국에서 만 18세 이상 성인 1만44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 한국 웰빙지수는 지난해(53.9점)보다 낮은 51.7점을 받아 23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일자리를 제외한 4개 설문항목에서 하락했다. 그동안 최하위 수준을 보여온 재정문제와 함께 사회관계, 가족 부문 점수가 큰폭 하락했다.
두번째로 낮은 순위를 차지한 홍콩과는 5점이 벌어졌다. 최상위권은 인도와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가 차지했다.
국내 연령별 웰빙지수는 샌드위치 세대인 35~49세가 50.3점으로 가장 낮았다. 18~34세가 54.0점, 50세 이상은 51.9점으로 집계됐다. 35~49세는 특히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족부문 만족도가 낮았다. 응답자 대부분이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부모와 자녀, 배우자 돌봄과 재정적 뒷받침 항목 등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답을 한 비율이 지난해보다 크게 낮아졌다.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 부양과 양육에 대한 부담으로 심리적,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 재정을 제외한 신체건강, 사회관계, 일 부문에서 다른 연령층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나이들어 나를 돌봐줄 사람은?’이란 질문에 전체 응답자 7%만이 ‘자녀들’이라고 답변했다. 응답자 50%가 ‘배우자’라고 답한 것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 밖에 의료시설 4%, 친구 3%, 친척 2%, 손자 1% 순으로 집계됐다.
부양에 대한 부담을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 않은 심리와 부부의 삶을 자식과 구분짓는 추세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재정 부문 웰빙지수는 50대 이상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국인 전체 평균은 43.4점이었다. 세대별로는 50대 이상이 42.5점으로 가장 낮았다.
은퇴 후 준비부족, 사회복지제도 미비 등 한국적 특수성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후에 대한 준비도를 묻는 질문에 50대 이상에서 노후 준비가 20%도 돼있지 않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