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당, 전당대회 앞두고 잇딴 신경전
정동영과 유성엽·이용주·최경환 간 입장 충돌 계속
민주평화당이 오는 8월 5일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선출을 앞둔 상황에서 당권주자 세력 간 팽팽한 신경전이 나타나고 있다.
8일 기준 평화당 전당대회에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 의사를 직·간접적으로 밝힌 의원은 유성엽, 이용주, 정동영, 최경환 의원 등인데 경선 룰 조정 단계에서부터 크고 작은 충돌이 잇따르는 실정이다.
첫번째 충돌은 6·13 지방선거에서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 평화당의 운영방식이 원인이 됐다.
현 지도부에 지방선거에 대한 책임을 묻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해야한다는 주장과 당헌당규 상 8월 말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조기에 치르자는 주장이었으나 결국 조기 전당대회를 치르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두번째 충돌은 박지원 의원과 정동영 의원 간에 빚어졌다. 박 의원은 이번 조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박지원·정동영·천정배·조배숙 등은 일선에서 물러나 지원하고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정 의원은 창당 초기이기 때문에 새로운 인물보다는 경륜을 갖춘 중진 의원이 나서 중심을 잡아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 의원이 정 의원을 만나 이같은 견해를 전했지만 정 의원은 반박하며 출마 의사를 확고히 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당대회 준비를 위해 구성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에서 구체적인 전당대회 진행방식을 정하면서도 후보들 간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말 진행된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는 평화당 지역당의 지역위원장 임기 문제를 놓고 한바탕 설전이 벌어졌다. 통상 전당대회를 치르기 전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열어 지역위원장 선임 절차 등을 거쳐 재정비를 한다.
평화당의 경우 지역위원장에 공모하려면 일반당원 200명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 중 창당 초기인 점, 당세가 약한 점에 따라 당원 확보가 어려우니 지역위원장 임기를 연장하자는 주장과 당헌당규에 따라야 한다는 주장이 충돌해 고성이 오가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를 1인 1표제로 하느냐 1인 2표제로 하느냐를 두고도 충돌이 빚어졌다. 1인 1표제 주장은 당원 표심을 명확히 반영하기가 용이한데다 후보 간 ‘표 거래’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반대 측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동시 선출하는 방식에서는 1인 2표제가 불문율처럼 적용돼왔고 1인 1표제는 특정인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당의 분란 소지도 있다는 입장이다.
결국 전준위는 1인 1표제를 채택해 최고위원회의에 안건을 올렸으나 최고위원회에서는 1인 2표제 도입을 결정했다.
가장 최근에는 국민 여론조사 반영 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국민 여론조사를 20% 반영하자는 입장과 ‘반영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 충돌했다. 지난 5일 전준위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거쳤지만 양측 간 입장 차이만 확인하고 결론내지 못했다.
결국 평화당 전준위는 오는 9일 회의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계획이다. 전준위는 이번 여론조사 반영 사안의 경우 최고위 인준을 받지 않고 반영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간극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에는 또 다시 최고위 결정을 따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평화당 관계자는 “전당대회 룰을 정하면서 정동영 의원 측과 여타 후보들 간 대립이 계속되는 양상”이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