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10명 중 6명 “전자담배도 일반담배와 동일한 세금 부과해야”
전자담배 피우는 이유 1위 ‘몸에 냄새 나지 않아서’
시민 10명 중 6명은 전자담배에도 일반담배와 동일한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와 다를 바 없고, 몸에 해롭기는 마찬가지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금연정책 및 전자담배’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7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흡연을 죄악시하는 사회분위기가 강해지면서 일반담배 흡연인구가 줄어들고, 보다 강력한 정부의 금연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우선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71.5%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3년 전인 2015년 조사때 비흡연자가 68.7% 였던점을 감안하면 비흡연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담배에 대한 이미지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담배와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다.
비흡연자(95%) 뿐 아니라 흡연자(82.5%)도 ‘담배가 건강을 위협한다’고 봤다. ‘담배가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는 기호식품’이라는 의견에는 비흡연자 92.9%가 동의했으나 흡연자는 이에 69.1%만 동의했다.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시선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으나 흡연자와 비흡연자간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비흡연자들은 흡연자를 건강을 못 챙기고(73.6%), 스트레스가 많으며(63.4%), 자기관리를 못한다(59.4%)고 평가했다.
흡연자들은 같은 질문에 대해 각각 50.2%, 58.6%, 34%로 답하는 등 상대적으로 관대한 평가를 내렸다.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강력한 ‘금연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금연정책과 관련 생각에 대한 질문에는 ‘정부의 금연정책이 더 강력해져야 한다’는 의견이 54.6%로 ‘금연 여부는 개인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의견(41%)보다 우세했다.
이는 2015년에 비해 ‘개인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인식(2015년 50.4%→2018년 41%)이 9.4%포인트 줄어든 반면 ‘정부의 강력한 금연정책이 필요하다’는 인식(2015년 45.2%→2018년 54.6%)은 9.4% 늘어난 것이다.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더욱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정책이 지나친 것 같다’는 의견은 8.4%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