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김포 ‘A형 구제역’ 경로 못밝혀
돼지 A형 백신 추가 등 이달중 방역개선방안 마련
올해 경기 김포에서 두 차례 발생한 돼지 ‘A형 구제역’의 발병 경로가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방역당국은 A형 구제역이 빈번히 발생한 국가로부터 바이러스가 국내로 들어온 뒤 분뇨·도축 차량에 통해 전파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북한 유입설에 대한 검토는 전혀 이뤄지지 않아 북한에서 바람(황사)에 의해 바이러스가 들어왔을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신속한 차단 방역으로 A형 구제역의 피해를 최소화했다지만, 이번 당국의 역학조사 결과는 축산차량을 제대로 소독하지 않은 채 농장에 멋대로 드나드는 ‘후진적 방역시스템’을 또 한번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봐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그동안 돼지에는 접종하지 않았던 A형 백신을 추가하고 축산차량에 대한 차단방역을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방역 개선방안’을 이달중 내놓기로 했다.
◇ A형 구제역 국내 유입 경로 ‘오리무중’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지난 7일 역학조사위원회 구제역분과위원회 개최결과를 발표했다.
역학조사위는 지난 3월 27일 올해 첫 A형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은 김포 대곶면의 돼지 농장과 4월 1일 확진받은 김포 하성면의 돼지 농장 간 바이러스 전파는 축산차량에 의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첫 발생 농장에 출입한 분뇨운반차량과 출하차량이 두번째 농장에 다녀간 역학관계가 확인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A형 구제역이 언제, 어떻게 국내로 유입됐는지에 대해서는 알아내지 못했다.
구제역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결과 중국 돼지 분리주와 95.7%, 태국 소 분리주와 95.6%, 미얀마 소 분리3주와 95.6%, 러시아 소 분리주와 95.4%의 상동성을 각각 보였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특성상 유전자 변이가 심해 100% 일치하는 사례를 찾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때문에 동종 또는 이종에 있어 개체 간 DNA 또는 단백질 서열이 얼마나 비슷한지를 보여주는 ‘상동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고 유전자 특성과 백신 종류 등을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