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수해복구 예산없어 '지지부진'
道 예산 77% 시행...시·군 부담비 마련에 '허덕'
경기도가 올 여름 수해를 입은 시설물의 조기 복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시·군비 등 사업비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차질이 우려된다.
30일 도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지난 7~8월 내린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29개 시·군에서 4595곳이 피해를 봤다.
도는 이들 시설물의 복구를 내년 우기 전까지 모두 마치기로 하고, 연내 공사를 모두 발주하도록 각 시·군에 주문했다.
예산도 전체 사업비 5896억원의 77%인 4587억원을 국·도비로 이미 지원했다.
하지만 지난 18일 현재까지 발주가 끝나 공사(339곳) 중이거나 준공(157곳)된 시설물은 복구 대상의 단 10.8%인 496곳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복구사업의 무려 89.2%(4099곳)가 물난리 3개월이 다되도록 설계(3205곳) 중이거나 발주(894곳)를 위해 행정절차를 밟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업이 더딘 것은 시·군이 자체 조달해야 할 예산 1268억원 가운데 64%인 809억원을 마련하지 못해서다.
수해가 큰 포천시와 양주시, 동두천시 등은 부담분이 각각 100억원을 넘어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이들 시·군에 설계부터 우선 끝낸 뒤 내년 본 예산안에 사업비가 편성되면 공사를 신속히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
감정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 측량 등 행정절차를 조기 이행해 지연되는 사례도 없도록 했다.
도 관계자는 "공사 기간이 2~3개월에 불과한 소규모 사업지가 많아 예산만 확보되면 내년 우기 전 공사를 모두 끝낼 수 있을 것"이라며 "점검반을 편성해 부실시공을 막고 조기발주를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