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컷오프 논란…여론조사 안한 23명, 왜?

2012-03-12     김동현 기자

 새누리당 공천심사 과정에서 하위 25% 컷오프 여론조사가 일부 현역 의원을 제외한 채 실시된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당초 계산대로라면 131명에 대해 여론조사가 이뤄져야 하지만, '경쟁력' 등을 이유로 당에서 임의로 일부 의원들을 뺀 93명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논란은 강승규 새누리당 의원이 11일 당 공천심사 과정에 대해 투명한 공개를 요구하며 "컷오프 여론조사가 현역의원 9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며 "나머지를 왜 제외했느냐"고 의혹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앞서 공천위는 당초 지역구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교체지수(50%) ▲당내 경쟁력(25%) ▲타당 후보와의 경쟁력(25%)을 조사해 불출마 의원을 제외한 현역의원 가운데 25%를 우선 배제시킨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를 감안할 경우 새누리당 전체 현역의원 144명 가운데 조사 당시 불출마를 선언한 13명을 뺀 131명에 대해 컷오프 여론조사가 이뤄져야 하는 게 맞는 원칙이다.

그러나 정홍원 공직후보자추천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5차 공천 명단을 발표한 직후 '하위 25% 컷오프 여론조사를 현역 의원 131명 중 93명만 대상으로 실시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밝혔다.

이어 '93명만 선정한 기준'을 묻는 질문에 정 위원장은 "정해진 인원에 대해 컷오프 여론조사를 실시했다"며 "심사에서 그렇게 하는 것으로 돼있었다"고 답변했다.

그러자 권영세 사무총장이 이에 대해 해명하고 나섰다. 결과적으로 지역구 출마자 131명 중 컷오프 탈락자는 당초 예고한 25%인 32명이 맞는 만큼 문제가 없고, 컷오프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은 일부 지역은 여러 사정을 감안해 여론조사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라는 해명이다.

권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93명은 공천위 재량에 따라 사실상 조사를 할 수 없는 일부를 제외시켰다"고 밝혔다.

▲단수후보지역 ▲경쟁력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지역 ▲지역의 사정이나 다른 후보의 특성 등을 고려해 이들 지역을 배제했다는 설명이다.

권 사무총장은 "현저하게 경쟁력 있는 후보들이 컷오프 탈락할 경우에는 선거 결과가 불편해지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있어서 이런 지역들은 임의로 배제시켰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준에 따라 현역 출마 의원 131명 중 단수후보지역 15명을 제외하면 116명이다. 그러나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은 나머지 23명의 경우 대상자가 누구인지, 어떤 근거에서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새누리당이 '경쟁력'과 '지역 사정' 등을 이유로 컷오프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23명에 대해 밝히지 못하면서, 공천과정에 대한 투명성과 적합성 논란 등이 앞으로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권 사무총장은 컷오프 대상 32명을 공개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그럴 생각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