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 핵폐기·後 보상’ 비핵화 적용 不可
북한과 리비아 사정 달라…리비아식도 단계마다 美보상
청와대는 3일 북한의 비핵화 방식으로 이른바 ‘리비아식 해법’으로 불리는 ‘先핵폐기·後보상’ 방식은 적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에 “(북한의) 완전한 선 핵폐기, 후 보상을 리비아식 해법으로 받아들이는데 그것은 적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 일부 언론들이 사용하는 리비아식 해법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까지 가는 완전한 핵폐기 후에 제재완화와 보상을 하는 방식으로 쓰는 것 같다”면서 “하지만 현재 북한과 (리비아의) 사정이 다르다. 그래서 적용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반응은 마크 내퍼 주한 미국대사 대리가 전날 “북한과 리비아 각각의 상황이 특별하다. 두 상황을 비교하는 게 현명하지 못할 수 있다”고 밝힌 것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서로 리비아식이라고 이야기하는데 무엇이 리비아식인지 이것(개념)에 대해서 서로 생각이 다른 것 같다”며 “실제 리비아식을 들여다 보면 크게 3단계를 거치고, 그 단계마다 미국의 보상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어 “처음에 제재 완화와 이익대표부를 개설하고, 그 후에 연락사무소로 격상한 뒤 공식 수교를 맺어 대사관으로 관계를 격상시킨다”며 “리비아식이라고 해서 완전한 폐기와 폐기 후 보상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비핵화 방식은) 우크라이나, 남아공, 리비아, 이란, 벨라루스, 카자흐스탄도 다 있다. 그런데 이 개념 자체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대화가 생산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6월 러시아월드컵 참석이 확정됐다는 러시아 타스통신 보도와 관련해 “이고르 레비틴 러시아 대통령 보좌관이 문 대통령을 접견했을 때 참석해 달라고 요청했고, 문 대통령이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며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