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4·3 추념식 참석…진실규명·평화 메시지 주목
대선 후보시절 제주 4·3 추념식 참석 공약
국가적 책임과 우리 사회 통합·치유 당부할 듯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3일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리는 제70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다.
이날 추념식은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란 주제로 4·3 생존 희생자와 유족 등 1만5000명이 참석한다. 4·3추념식은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4·3 추모 행사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문 대통령이 두번째다.
문 대통령은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리는 이날 추념식에서 과거사 해결과 미래 통합을 당부할 전망이다. 이념 문제로 억울하게 떠난 넋을 위로하고, 더 이상의 희생은 없어야 한다는 평화 메시지가 주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이데올로기 대립과 지역 갈등을 뛰어넘자는 미래지향적 언급도 할 것으로 알려졌다.
19대 대선 후보 시절 공약이었던 진상규명과 피해자 명예회복, 배·보상을 통한 국가책임 인정, 제주 4·3 제70주년 기념사업 추진, 암매장 유해 발굴과 희생자 추가신고 계획 등도 추념사에 담길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4·3 특별법이 2000년 만들어졌고,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서 2003년 채택한) 진상 보고서가 나왔었다. 그 보고서 내용이 정부 입장"이라며 "그러나 현재 그 것만으로 진상 규명과 배·보상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의원들이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대통령 추념사에서 그런 말씀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추념사를 통해 미해결 과거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국가적 차원의 후속조치로 사회정의 구현 의지를 드러낸다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과거사 문제 해결'을 제시하며 제주 4·3 사건 등의 과거사 해결을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이날은 문 대통령이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지 꼭 1년 되는 날이기도 하다. 당시 문 대통령은 경선 승리 직후 첫 일정으로 제주 4·3 평화기념관을 방문하려 했지만 기상 악화로 취소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