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정상회담으로 방향트나

北 김정은, 남북정상회담 文 친서에 공감…실무준비 지시

2018-03-06     박경순 기자
▲ 정의용 수석대북특사(국가안보실장) 5일 오후 평양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김정은 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과의 접견·만찬 결과에서 남북정상회담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연내 회담 성사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동안 북미대화 중재에 힘 써왔던 문 대통령 입장에서도 ‘비핵화 벽’에 가로막혀 접점을 찾지 못하는 북미대화에 연연하기보다는 남북정상회담 카드를 새로운 돌파구로 삼을 수 있을 것이란 평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있었던 만찬 결과를 전하면서 “최고령도자 동지는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세계가 보란듯이 북남관계를 활력있게 전진시키고 조국통일의 새 역사를 써나가자는 것이 우리의 일관하고 원칙적 입장이며 자신의 확고한 의지라고 거듭 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최고령도자 동지는 남측 특사로부터 수뇌상봉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뜻을 전해듣고 의견을 교환했으며 만족한 합의를 봤다”며 “해당 부문에서 이와 관련한 실무적 조치들을 속히 취할 데 대한 강령적 지시를 줬다”고 덧붙였다.

이는 곧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전달한 문 대통령의 친서 속에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된 구상이 포함돼 있었고, 문 대통령이 밝힌 정상회담 구상에 김 위원장이 큰 틀에서 공감대를 이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전날 만찬에서의 남북정상회담 논의 여부에 관해 “그와 관련된 논의도 포함됐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단의 면면을 살펴보면 문 대통령이 당장 성사가 어려워 보이는 북미대화를 염두에 뒀다기 보다는 남북정상회담을 고려한 멤버로 구성됐다는 평가다. 

‘대미통’인 정 실장에게 수석특사를 맡긴 것은 미국에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상징성이 크고, 실제로는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김 위원장의 의중을 파악하기 위한 멤버로 다수 꾸려졌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수행원을 제외한 5명의 대북 특사단에는 서훈 국정원장,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등 3명이나 대북통 인사가 이름을 올렸다.

정 실장 주도의 북미대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빠르게 남북정상회담 의제로 전환하기 위한 탄탄한 실무진을 배치했다고 볼 수 있다.